티스토리 뷰
목차
오늘(2025년 5월 9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당헌 제74조에 따른 '당무우선권'을
발동하며 당 지도부와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와의
단일화 추진을 둘러싼 충돌로, 향후 법적 공방과 당내 분열이 예상됩니다.
당무우선권의 뜻, 장단점, 과거 사례, 그리고 향후 전망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당무우선권이란 무엇인가?
2025년 5월 9일, 국민의힘 김문수 대통령 후보가 당무우선권을 전격 발동했습니다.
당무우선권이란 정당의 대통령 후보자가 선거 기간 동안 당무 전반에 대해 우선적인
권한을 갖는 제도입니다. 이는 국민의힘 당헌 제74조에 명시된 조항으로, 후보자가
선거 전략과 조직 운영에서 실질적인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김문수 후보의 당무우선권 발동 배경
김문수 후보는 당 지도부가 무소속 예비후보인 한덕수 전 총리와의 ‘강제 단일화’를
시도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선거의 독립성과 후보 간 자율적 협의를 보장받기 위해
당무우선권을 행사했습니다. 그는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당헌에 명시된 권한을
정당하게 행사하는 것”이라며, 당 지도부의 단일화 강행에 공개적으로 반발했습니다.
한편, 당 지도부는 당헌 제74조의2 조항, 즉 ‘상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최고위원회의
의결로 조정 가능’하다는 특례 조항을 근거로 반격하고 있습니다.
당무우선권의 장점
- 선거 전략의 일관성 확보
당 후보자가 전략과 메시지를 일관되게 관리할 수 있어 선거 캠페인의 혼선을 줄입니다. - 책임 있는 선거 운영
후보자가 직접 책임을 지고 조직을 운영함으로써 결과에 대한 명확한 책임 소재가 생깁니다. - 정당 내 혼선 최소화
당내 계파나 지도부와의 충돌을 최소화하고, 선거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당무우선권의 단점
- 지도부와의 충돌
당 지도부와 대통령 후보 간의 의견 차이가 극명할 경우, 당무우선권은 오히려 갈등의 뇌관이 될 수 있습니다. - 권한 오남용 우려
후보 개인이 모든 결정권을 갖게 되면 독단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내부 민주주의가 훼손될 수 있습니다. - 법적 해석 논란
당헌의 모호한 표현으로 인해 당무우선권과 최고위 권한 간 충돌이 자주 발생합니다.
과거 사례로 본 당무우선권
- 윤석열 전 대통령 (2022년 대선)
선대위 개편을 놓고 당내 이준석 대표와 갈등을 빚던 당시, 윤 전 대통령은 당무우선권을 내세워 자신이 주도하는 ‘새 선대위’를 구성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당대표가 직을 내려놓는 등 내부 갈등이 커졌지만, 캠페인 흐름을 일관되게 가져가는 데 성공했습니다. - 홍준표 후보 (2017년 대선)
홍 후보 역시 당무우선권을 발동해 선거 전략팀을 직접 구성하고, 당의 대선 기조를 일원화했으나 당내 반발과 외부 이미지 실추로 실익은 크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향후 전망: 김문수 vs 당 지도부, 어디로 향할까?
김문수 후보는 법원에 자신의 후보 자격을 보장받기 위한 가처분 신청을 접수했고,
당 지도부는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덕수 단일화를 강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선거 전략 갈등을 넘어서, 당헌 해석과 권력
구조의 충돌이라는 정치적, 법적 쟁점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향후 법원의 판단과 최고위의 대응, 그리고 김문수 캠프의 전략이 2025년 대선의
향방을 좌우할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